프로그래밍[Univ] 343

[CSS] CSS 주로 사용되는 property

먼가 문법적으로 설명하기엔 부족해서 예문을 들어서 보여주겠다. 1. 배경 - 배경 색갈 지정 : body {background-color:#fff} / 페이지 배경색을을 fff로 지정한다. - 배경 그림 첨가 : body {background-image:url ('hello.jpg'); / hello.jpg를 배경으로 지정한다. ⓐ 옵션 - background-repeat:value; / value에는 "no-repeat" or "repeat"로 지정되며 배경그림의 반복여부이다. > repeat는 repet(모두반복), repeat-x(x축반복), repeat-y(y축반복)으로 또 새분화된다. - background-position:center top; / 이미지의 위치를 지정해주는 것으로 예에서는 중앙..

[CSS] 웹을 디자인 하다!

... [CSS] 하고 CSS라고하면 먼가 이상할 것 같아서 거창하게 이름을 붙여봤다. 그러면 웹을 디자인하는 CSS에 대해서 알아보도록하자. 1. CSS란? - Cascading Style Sheet의 약자로 HTML문서가 어떻게 화면에 나타내는지에 대해서 기술한다. - 기존에 HTML에서 style을 구현시 관리 유지 비용이 많이 드는 것에 의해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만들어졌다. - 관리 유지 비용을 줄이기 위해 만들어진 것 만큼 작성및 관리 유지를 편하게 해주었다. 2. CSS의 문법 - CSS의 문법의 형식은 다음과 같다 : SELECTOR{PROPERTY:VALUE;} ⓐ selector : 디자인 될 테그를 선택한다. ⓑ declaration : property+value를 의미 하며 선택된 태..

[HTML 4.x / XML 1.x] HTML

앞서 봤듯이 HTML은 Hypertext와 tag로 이뤄져 있다. 그렇다면 HTML에서 사용되는 tag가 무엇이 있고, 그 테그가 가질 수 있는 요소 값을 알면 HTML문서의 작성이 가능하다. 모든 태그를 외울 수없으므로 다음 사이트를 참조하여 레퍼런스를 검색한다. http://www.w3schools.com 일단, 자주 쓰이는 HTML테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한다. 그에 앞서 HTML작성 방법론에 대해서 말해보겟다. * HTML 작성 방법론 - HTML은 내용만을 나타내는 역할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. 이는 CSS와의 구분으로 프로그램의 유지보수를 용의 하게 해주는 역할을 해준다. 만일 HTML안에 style을 정의한다면 하나의 내용 및 style을 변경하는데 많은 보수 비용이 필요로 하게 된다. 다시말..

[알고리즘] 알고리즘(Algorithm)의 유래/개요

1. 알고리즘의 유래 - 사전적 의미 :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특별한 방법 - 공학적 의미 : 주어진 문제를 컴퓨터를 사용하여 풀기 위한 좀 더 효율적인 방법 > 효율적 : 실행속도가 빠르거나 메모리를 적게 차지하는 것 따위의 것 2. 알고리즘 이란? - 단순하게 생각하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수학 공식과 다르게 정답이 정해진 것은 아니다. ex) 대학교 학생에게 학번을 부여하는 방법을 기술 하시오. 단, 학번은 학생고의의 번호로 하나의 번호를 두명이 가지지 못한다. > 위 문제에서는 만족시킬 조건이 알고리즘에 큰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알고리즘의 우열을 가릴수 없다. ex) 주민등록번호 : YYMMDD(탄생일) -(MorF)고유번호 > ⓐ 탄생일 ⓑ M/F구분 ⓒ 고유번호 부여방법(알고리즘..

[프로그래밍 언어론] 프로그램 언어의 탄생과 기여 Part 2

1. PL/I - 65년 프로그램언어의 양분화 현상(과학용/비지니스용) - 서로의 다른 면을 바라 보고 프로그램이 모든 컴퓨터에서 하나의 언어로 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 - 특징 ⓐ 동시에 실행하는 테스크 생성 허용 ⓑ 예외 탐지 가능(최초) ⓒ 재귀함수의 사용이 허용됨 ⓓ 다차원 배열에서의 특정원서 지정이 가능해짐 ⓔ 포인터 사용 가능 - 과학용언어와 비지니스언어의 합침으로인해 복잡해지고, 잘못된 디자인도 발생됨. > 대중성이 떨어짐 2. Dynamic Language 부류의 탄생 - static language(ex:c언어)와 반대대는 것으로 변수의 type이 지속적인 변화가 가능 - 수행 속도가 느림 - Dynamic Language의 시초 ⓐ APL : 구문예 → X[ㅁX+,=''';] / 막강한 ..

[프로그래밍 언어론] 프로그램 언어의 탄생과 기여 Part 1

1. 포트란(Fortran) - 기계의 효율을 위해 만들어짐 - 컴퓨터의 메모리가 작고 속도가 느리고 신뢰성이 없었다. - 58년에 만들어진 포트란2에서는 컴퓨터의 신뢰성을 위해서 코드소스줄을 400줄 이하로 제한 하기도 했다. - 포트란3,4,77,90,95,2003등 다영한 년도에 지속적인 발달로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적 견본역활을 한다. - 컴파일러를 탄생시킨 언어 2. 리습(LISP) - 인공지능의 개발로 인해서 발달한 언어 - 리스트의 처리에 중점을 두고 설계가 되었다. - 함수형 프로그래밍 언어로 명령형 언어와 또 다른 길을 열어 놓았다. - 현재까지 인공지능 분야의 프로그램을 지배하고 있다. 3. 알골(ALGOL) - 알고리즘을 위한 언어 - 수학적인 것을 기계에 무관하게 돌아가게 하기 위한..

[프로그래밍 언어론] Implementation(구현)

각각의 언어는 컴파일러방식 또는 인터프리터 방식으로 재구현 되어 기계로 전달된다. 1. 컴파일 방식 - 프로그램 소스가 컴파일러에 의해 다음 과정을 거치면서 기계언어로 변경된다. ⓐ 프로그램 소스코드 컴파일 실행 ⓑ 어휘 분석(분법적으로 의미가 있는 최소한의 단위로 쪼겜) ⓒ 문법 분석(문법적으로 타당한지를 판단) ⓓ 중간코드 생성 및 지속적인 최적화 실시 ⓔ 기계어 생성 - 과정에서 보면 기계어로 바로 변경되는 것이아니라 중간에 중간 코드를 생성한다. ⓐ 중간코드 : 고차원 언어와 저급 언어의 중간단계코드로 어느 특정 기계에 종속되지 않는 언어 : 기계어는 해당 언어에 종속되는 반면에 중간코드는 기계와 독립적이다. >> 즉, 중간코드단계를 가지고 여러 기계에서 사용이 가능하다. - 장점 : 소스코드가 ..

[HTML4.x / XML 1.x] HTML과 XML

1. HTML(Hypertext Markup Language) - Hypertext : 링크로 문서가 서로 연결 되있다. 즉, 링크가 존재한다. - Markup : Tag기반으로 문서를 표현 - 특징 ⓐ 텍스트 파일 기반 : 가격이 Free ⓑ Web에서 보여질 문서의 내용과 모양을 표현 ⓒ 줄 바꿈, 공백의 무시 / 자신의 일일이 코드로 지정해 주어야 한다. - 표준안 : http://www.w3.org 2. XHTML - XML + HTML / XML구문의 적용으로 문법이 엄격하다. - 문법이 엄격한 만큼 오류를 줄이기가 쉽다. - 호환선 문제로 2.0이상은 사용하지 않음. - HTML과의 차이점 ⓐ element간의 중첩관계가 올바르게 이뤄져야함. ⓑ 모든 element는 닫혀 있어야함. ⓒ 모든 ..

[Swing] KeyEvent / KeyListener

1. KeyEvent 와 Focus / 키 이벤트와 포커스 - 모든 컴포넌트는 Key이벤트를 받을 수 있다. - 여러 컴포넌트가 동시에 Key입력을 받으면 혼잡해지고, 화면을 제어하기가 힘들어진다. (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모든 것을 보아라...) > 여기서 나온것이 Focus!! Key입력은 Focus를 받고 있는 것만이 가능하다. - 즉, Focus를 받는것이 Key이벤트를 독점한다!! 2. Focus 주기 - 강제로 임의의 컴포넌트에 포커스를 주는 방법 > component.requsetFocus(); // component 컴포넌트에 포커스를 강제로 줌... - 컴포넌트가 포커스를 받을수 있는 상태로 대기 > component.setFoucsable(true); // component 포..

[프로그래밍 언어론] 프로그램 언어의 카테고리와 언어 설계/디자인의 절충

1. 언어의 카테고리 일단 언어를 나누는 주요 4가지 카테고리를 보도록한다. - 명령형 언어 : 폰 노이만 구조에 의해 생성된 변수, 어사인먼트. 레퍼티션 이 3가지의 요소의 상호관계 존재 대부분의 언어가 이곳에 속한다. - 함수형 언어 : 명령형 언어에서 추구하는 것을 모두 거부 세상의 모든일을 함수로 가능하다는 원리 / 함수가 함수를 부르면서 실행 됨. 변수 없이 함수의 결과물이 다른 함수에 입력되어 결과물이 나올때까지 실행 됨. 함수의 연결리스트와 함수 2가지만 제공된다. ex) 리습(LISP(list processing)) - 조직형 언어 : 명령형/함수형 언어에서 추구하는 것을 모두 거부 prospositions, predicates, logical dedcation으로 이뤄짐 논리 프로그래밍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