프로그래밍[Univ]/네트워크

[네트워크] 셀룰러 망(이동통신망)

Cloud Travel 2012. 10. 8. 18:20

* 셀룰러 네트워크의 구성

 - 하나의 기지국(BS)가 커버하는 구역(기지국이 신호가 미치는 구역)을 Cell이라고 부룬다.

  > 각각의 이웃한 기지국의 주파수는 달라야한다.

 - Cell들을 관리하며, 공중 광역망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MSC(Mobile Switching Center)이다.

  > MSC는 이동 단말에 셀을 할당해주고 해제하는 역할을 담당

    



* 셀룰러 망의 표준 무선 접속 방식

 

 - 1G : 아날로그 방식 / 각 나라마다 다양한 방식이 존재하였다.

 - 2G : 디지털 방식 

  > IS-136 TDMA : FDMA/TDMA의 결합(북미)

  > GSM(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) : FDMA/TDMA의 결합(유럽), 가장 널리 사용됨

  > IS-95 CDMA의 등장. 하지만 사용하지는 않았다.(우리나라가 최초로 CDMA를 도입)

 - 2.5G : 2G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탄생

  > General Packet Radio Service(GPRS) : GSM에서 진화

  > Enhanced data rates for global evolution(EDGE) : 384Kbps

  > CDMA-2000 1x(phase 1) : 144Kbps

  > CDMA-2000 1x EV-DO(Evolution Data Only) : 2.4Mbps

 - 3G : IMT 2000계획 발표

  > 음성 품질을 공중 전화망 수준으로 올리고, 속도는 비이동시 2Mbps, 보행시 284kbps, 

     고속이동시 144kbps를 최소로 하자는 전세계 표준을 만들자는 내용

  > 인터넷 접속 지원 및 packet switched와 circuit switched 데이터 서비스 지원

  > 유럽에서는 UMTS로 불리었고, 보편적으론 IMT 2000이라고 불린다.

  ※ IMT 2000

   - 목적 : 세계 단일 규격을 만드는 것

    > 하지만 유러식과 북미식의 두가지 표준이 만들어 졌다.

   - 두 표준은 모두 CDMA방식이지만 동시식과 비동기식으로 각각 동작 방법이 달랐다.

   - 동기식 : CDMA 2000

    > 북미에서 사용된 표준

    > 모든 단말과 기지국은 GPS로 동기화 되있다.

    > CDMA 2000 1x와 CDMA 1x EV-DO형태로 서비스됨

   - 비동기식 : W-CDMA

    > 유럽, 일본에서 사용

    > 자체적으로 시간을 동기화(기지국과 단말이 서로 시간을 맞춤)

 - 3.5G

  > 3G의 데이터 전송 속도 향상을 위해서 나옴

  > 2Mbps ~ 14.4Mbps의 속도를 보임

  > 우리나라에서 WiBro를 자체 제작하여 표준으로 제안. 속도는 18Mbps

 - 4G 

  > Long Term Evolution(LTE), OFDM을 사용

  > 30Mbps ~ 100Mbps가 목표


* 국내 이동통신 사건

 - 1992. 8 : 공기업(KT)와의 경쟁구도를 위해 제 2 이동통신 사업자 선정 : SK

 - 1994     : 제 2 이동통신 사업자가 SK에서 신세기으로 변경, SK는 KT주식의 24%를 구입하여 제 1 이동통신 사업자가 됨

 - 1996     : CDMA를 세계최초로 상용화

 - 1996 6  : PCS 사업자 선정, 프리텔, LGT, 한솔 / 총 5개의 통신사간의 경쟁

 - 1999 12 : 신세기 이동통신이 SK에 합병

 - 1999     : SK의 아날로그 서비스 종료

 - 2000 6  : 한국통신이 한솔, 프리텔을 인수 / SK, KT, LG 3사 경쟁 구도

 - 2000 10 : SK CDMA 2000x1의 상용화

 - 2000 12 : IMT-2000사업자 선정 / KT, SK가 비동기식 사업자. 

 - 2001     : LG가 동기식 사업자로 선정

 - 2002 2  : SK CDMA-200x1 EV-DO 상용화

 - 2006 6  : Wibro 개발, KT, SK 사업자로 선정됨

 - 2007     : W-CDMA HSPDA 서비스 시작(KT:SHOW/SK:Tworld) > 새로운 망 설치 및 국제 로밍 지역의 확대

                 CDMA Rev.A(동기식) 서비스 시작(LG:OZ)

 - LGT 동기식 방식을 버리고(범칙금 지불), 4G LTE 사업 시작

 - 주파수 전쟁, 주바수 확보를 위해 기존의 017, 019, 016등의 번호를 없에려고 하는 것

 

* 셀룰러 망 무선 접속 방식

 - FDMA/TDMA/CDMA (이전 CDMA 자료 참고 할 것)